한글화..라는 트윗을 보다가 "한글베이직"이 생각났습니다.
*참고*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5%9C%EA%B8%80_%EB%B2%A0%EC%9D%B4%EC%A7%81
TV에서도 잠깐 방영(?)했던 것 같기는 한데요..
만약.. 만약에 말이죠,
1)
명령어 코드가 한글 "한글자"로 가능했다면 많이 썼을까요..?
- 변수명을 지정하기 힘들어집니다 ㅜ.ㅜ.. (두글자 이상이 필수가 되어버림.)
- 읽을 수는 있겠죠..? (STOP 같은 것을 뙇..이라고 하진 않겠지만..)
2)
내용 입력/수정시에 자소단위스킬(?)을 쓴다면 어떨까요..
- 글자단위 삭제와 자소단위 삭제의 고민을 어떻게 해결할것인가..라는 문제이긴 하죠..
2-2)
영문형 명령어 입력해도 한글형으로 바꿔주면 안될까요..
- 어차피 명령어라는 게 인식이 된 다음의 문제죠.. 오래된 베이직은 코드형 인터프리터라 가능했을수도 있지만요.. (APPLE ][ 의 베이직..)
* 참고 *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5%A0%ED%94%8C%EC%86%8C%ED%94%84%ED%8A%B8_%EB%B2%A0%EC%9D%B4%EC%A7%81
...
뭐, 한글로 적용할 정도의 여유(?)가 있었기에
지금의 한국 IT 가 있다고 생각하긴 하지만..
여러개의 언어를 쓸 여유가 당시의 개발자분들께는
그리 많지 않다고 생각된다는 점이 (물론, 기능성의 문제도 있지만요..)
사용을 안하게 된 결정적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.
이것저것 하다보면, 언어의 코드가
다국적이 되어버리거든요..
중간에 컴퓨터언어간 번역(?)을 하는 분들께 좋은 일이 될 수도 있겠지만,
.. 글쎄요..
인터넷이 생겨난 이유랑 좀 멀어지는 이유때문일지.. (정보의 쉬운 접근, 정보의 쉬운 활용..등을 위한다..라는 부분에서..?)
뭐.. 그렇습니다.
easyBow killofki@.
*참고*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5%9C%EA%B8%80_%EB%B2%A0%EC%9D%B4%EC%A7%81
TV에서도 잠깐 방영(?)했던 것 같기는 한데요..
만약.. 만약에 말이죠,
1)
명령어 코드가 한글 "한글자"로 가능했다면 많이 썼을까요..?
- 변수명을 지정하기 힘들어집니다 ㅜ.ㅜ.. (두글자 이상이 필수가 되어버림.)
- 읽을 수는 있겠죠..? (STOP 같은 것을 뙇..이라고 하진 않겠지만..)
2)
내용 입력/수정시에 자소단위스킬(?)을 쓴다면 어떨까요..
- 글자단위 삭제와 자소단위 삭제의 고민을 어떻게 해결할것인가..라는 문제이긴 하죠..
2-2)
영문형 명령어 입력해도 한글형으로 바꿔주면 안될까요..
- 어차피 명령어라는 게 인식이 된 다음의 문제죠.. 오래된 베이직은 코드형 인터프리터라 가능했을수도 있지만요.. (APPLE ][ 의 베이직..)
* 참고 *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5%A0%ED%94%8C%EC%86%8C%ED%94%84%ED%8A%B8_%EB%B2%A0%EC%9D%B4%EC%A7%81
...
뭐, 한글로 적용할 정도의 여유(?)가 있었기에
지금의 한국 IT 가 있다고 생각하긴 하지만..
여러개의 언어를 쓸 여유가 당시의 개발자분들께는
그리 많지 않다고 생각된다는 점이 (물론, 기능성의 문제도 있지만요..)
사용을 안하게 된 결정적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.
이것저것 하다보면, 언어의 코드가
다국적이 되어버리거든요..
중간에 컴퓨터언어간 번역(?)을 하는 분들께 좋은 일이 될 수도 있겠지만,
.. 글쎄요..
인터넷이 생겨난 이유랑 좀 멀어지는 이유때문일지.. (정보의 쉬운 접근, 정보의 쉬운 활용..등을 위한다..라는 부분에서..?)
뭐.. 그렇습니다.
easyBow killofki@.
덧글
개발자분이 취미 삼아 만드시던 건데 요즘도 업데이트 하시나 모르겠군요.
아는 범위에서는 씨앗..정도인데 (써본 건 아니구요..)
검색해보니 아희..라는 언어도 있군요 -.-..
비펀지 구조를 사용한 한글언어입니다.
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B%B9%84%ED%8E%80%EC%A7%80
어떻게 생각해보면 APPLE ][ 의 shape table 과 비슷하게 볼 수도 있군요..
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5%A0%ED%94%8C%EC%86%8C%ED%94%84%ED%8A%B8_%EB%B2%A0%EC%9D%B4%EC%A7%81
물론, shape table 은 계산기능이나 저장기능같은 거 없습니다.
point 부터 그리느냐, point 부터 안그리느냐
어느 방향으로 그리냐.. 정도가 전부였죠.